🗂️ INDEX

글 작성자: Universe7202

========= `추가 (2020-08-10)` ========

이 공격에 좀 더 공부를 해서 portswigger 문서를 번역한 pdf 파일을 공유한다. 

글 본문의 내용과 비슷하지만 아래 PDF 문서를 보는 것을 추천한다.
아래 번역글은 portswigger에서 얻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만들어 졌다.

 

입문: HTTP Request Smuggling 이란

HTTP request smuggling(해석).pdf
0.17MB

  • HTTP Request Smugging vulnerability test

  • `Exploit using python`
 

python 으로 http request smuggling tool 만들기

소스 코드는 github 에서 볼 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 모든 기능은 완성되지 않았지만,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을 것이다. Lactea98/smuggler.py HTTP request smuggling tools. Contribute to Lactea98/smuggler.py..

lactea.kr

  • `HTTP Request Sumggling 실습 환경 만들기`
 

Paypal에서 발견된 HTTP Request Smuggling - 실습 환경 구축

요즘 http request smuggling 공격에 대해 몇일간 공부 중이다. 몇달 전에 이 공격을 처음 접하게 되면서 이 공격에 대해 매우 흥미를 느꼈다. http request smuggling 공격에 대해 portswigger 라는 홈페이지에..

lactea.kr

================== 끝 =====================

 

 

 

 

HTTP Request Smuggling


Abstract

이 글을 쓴 계기는 hackerone 에서 paypal 취약점이 나왔는데, 이 취약점의 이름은 http request smuggling 이라고 한다.

바로 이 글이다. 링크

이 취약점은 처음 들어봤고, 어떤 공격이 가능한지 시간이 날때마다 원글을 읽고 다른 사이트로 부터 참고하여 공부를 했다.
꽤나 흥미로운 취약점인 것 같아서 정리를 목적으로 작성하게 되었다. 이 취약점은 꽤나 오래 전 부터 발견된 취약점 이라고 한다.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메인 server 앞에 proxy server가 있고, 이 두 server는 request의 header에 있는 content-length와 transfer-encoding 이 있을 경우 ,
서로 다른 parsing으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현재 real world 에서는 메인 server의 과부하, 보안 등의 목적으로 앞에 proxy server를 두는 경우가 있다.
이 취약점을 찾은 보안 전문가는 아마 이런 이유로 http request smuggling 공격을 시도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냥 존경스럽다.)

어쨋든 이 이후의 글은 이 http request smuggling 공격에 대해 설명을 작성할 것인데, 실제로 나는 테스트를 해보지도 않았고, 단지 몇몇개의 글만 읽고
머리 속으로 정리한 거라 틀린 부분도 있을 것이고 내용이 부족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런 점은 양해를 바란다. 만약 이 글보다 더 좋은 글을 보고 싶을 경우
Reference를 참고하자.

Concepts

HTTP/1.1 은 여러개의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게 지원한다. 이 프로토콜은 HTTP 요청이 일련(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서버로 전송된다. 서버는 이 일련의
패킷을 받아 응답을 하기 위해 parsing을 하게되는데, 각각의 패킷이 어디가 끝 부분이고 다음 패킷의 시작부분이 어디인지 헤더를 분석한다.

image

출처: portswigger.net

위 사진처럼 각각의 요청이 일련으로 배치되어 서버에 전송이 되고, 서버는 각각의 시작과 끝을 분석하여 패킷을 분리시키고 각각의 request 패킷에 response을
하게 된다. 만약 공격자가 아래 사진처럼 정상적인 패킷에 악의적인 패킷을 포함시켜 request를 보내면 어떻게 될까?

image

Front-end 에서 위 사진처럼 request 패킷을 받으면 각각의 패킷의 시작과 끝을 찾게 되는데, 분석을 하는 기준 때문에 공격자가 보낸 파란색 요청과 주황색 요청이
분리되어 Back-end 서버로 전송된다. Back-end 는 파란색 요청만 응답하고 주황색 요청은 서버측에 posioning 되어 대기하다가 초록색 요청이 들어보면 주황색
요청과 초록색 요청을 함쳐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내게 된다. 이렇게 HTTP request Smuggling 공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이런 것이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Front-end는 공격자가 보낸 요청을 왜 파란색과 주황색 요청으로 따로 분리했는지와, Back-end 에서 posioning 이 일어난 이유와
피해자는 어떤 응답을 받게 되는지 이다. 차근차근 설명해 주겠다.

1. Why split a request into two requests

이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Content-length 와 Transfer-encodeing 헤더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 Content-length
  • Content-length는 entity body의 크기를 bytes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request나 response를 받을 때 헤더에 content-length 값이 5이면 5byes 만큼만 entity body에서 가져오게 된다. 만약 content-length 값이 10bytes 인데 entity body에서 5bytes 값만 있다면, 받는 입장에서는 "엇? 데이터가 덜 들어왔으니까 기다려야지" 라는 행동을 할 것이다. 기다라려도 요청이 추가적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timeout이 된다.
  • Transfer-encoding
    Transfer-Encoding: chunked
    Transfer-Encoding: compress
    Transfer-Encoding: deflate
    Transfer-Encoding: gzip
    Transfer-Encoding: identity
    HTTP/1.1 에서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중 하나로, 덩어리(Chunk)의 나열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content-length를 모를때 Transfer-encoding을 사용하여 중간중간에 계속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게 된다. 더이상 데이터를 줄 것이 없다면 마지막에 0 \r\n 을 보내게 된다.
    [크기 16진수] \r\n
    [data]\r\n
    형태는 위와 같고 실제 패킷에는 다음과 같이 찍히게 된다.위 내용을 decode 하면 아래와 같다.
  • Wikipedia in chunks.
  • 4\r\n Wiki\r\n 5\r\n pedia\r\n e\r\n in\r\n\r\nchunks.\r\n 0\r\n \r\n
  • Chunked Transfer-encoding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여러가지의 Tansfer-encoding 방식이 있는데 여기서 다룰 encoding은 Chunked 이다.
  • Simple exampleimage우선 위에서 봤던 사진을 다시 가져와서 victim 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겠다.image여기서 가정을 하겠다. Front-end는 첫번째 Content-length 를 기준으로 패킷을 분석하고, Back-end는 두번째 Content-length를 기준으로 패킷을 분석한다고 가정을 하자. 공격자는 파란색과 주황색 패킷을 보냈다. 파란색 패킷에는 위에 사진처럼 2개의 Content-length 헤더를 가지고 있다.
    • 처리 과정
      • 공격자가 보낸 패킷을 분석하기 위해 첫번째 Content-length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첫번째 Content-length = 6 이므로 entity body는 \r\n 이후에 있는 값 부터 bytes를 세어 12345G 까지 읽고 Back-end로 보낸다.
      • 패킷을 받은 Back-end는 두번째 Content-length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두번째 Content-length = 5 이므로 12345 까지 데이터를 읽어 그에 맞는 응답을 하게 된다(!).
      • 이렇게 되면 Back-end는 G라는 데이터가 남게 되고 이 값을 처리하기 위해 기다린다.
      • 이때 피해자가 요청을 보내게 된다.(초록색 패킷)
      • Back-end까지 온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남아있던 G 데이터가 피해자의 요청 앞에 붙어 POST 요청이 아니라 GPOST 요청이라는 이상한 요청이 들어오게 된다. 결국엔 피해자는 정상적인 응답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서버 설정은 CL.CL 이라고 부른다.If a message is received with both a Transfer-Encoding header field and a Content-Length header field, the latter MUST be ignored.이번 서버 설정은 CL.TE 방식이다.image우선 Front-end는 Content-length = 6 이므로 \r\n 이후에 있는 값 0\r\n\r\nG 을 데이터로 인식해서 처리한 후 Back-end로 보내게 된다.
    Back-end는 Transfer-encoding : chunked 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는데, 위에서 Transfer-encoding : chunked에 대한 설명을 되새겨 보면 (기억 안나면 위로 ㄱㄱ) 데이터의 끝은 0\r\n으로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위 패킷에는 0\r\n\r\nG 데이터에서 0\r\n 를 보고 "여기까지가 데이터가 끝이네" 라고 생각하며 여기까지만 응답을 하게 된다. 남은 \r\nG는 아까 첫번째 예제와 똑같이 피해자가 요청이 들어오면 피해자 패킷 앞에 붙어 응답을 하게된다.반대로 Front-end가 chunked encoding을 지원하고, Back-end가 Content-length를 지원한다면, 즉 TE.CL 일 경우 다음과 같이 요청을 보내야 한다.imageFront-end는 Transfer-encoding을 기준으로 패킷을 분석한다. 위에서 설명 했듯이 6\r\n prefix\r\n 0\r\n 까지가 body의 끝이고 이것을 Back-end로 보낸다. Back-end는 Content-length = 3 이므로 6\r\n 까지 데이터로 인식하여 응답을 하게 된다. 이 이후로는 남은 데이터는 피해자의 요청 앞에 붙어 응답을 보내게 된다.필자가 참고한 사이트에서 Burp Suite에 HTTP Request Smuggler 라는 extension 이 있다고 한다. 궁금한 분들은 링크 클릭!
  • 여기까지 글을 읽으면서 이해가 된 분들은 나처럼 소름이 돋았을 것이다.(두근두근...)
  • 이 예는 Front-end가 Chunked encoding을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 해당되는 익스플로잇 이다. 이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Akamai를 사용하는 많은 웹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동작이라고 한다.
  • 이번 예제는 Content-length 와 Transfer-encoding을 이용한 간단한 예제를 보여주겠다.
  • 실제로 2개의 Content-length 기술은 거의 동작하지 않는데, 이유는 많은 시스템은 여러개의 Content-length 헤더 요청을 거절하기 때문이다. 대신에, Chunked encoding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공격할 수 있다. RFC 2616 에 따르면,
  • 위에 설명했던 Content-length와 Transfer-encoding을 이용하여 간단한 예를 보여주겠다.
  • 위 문장을 해석하면 "만약 Transfer-encoding 헤더 필드와 Content-length 헤더 필드와 함께 메시지를 받게 된다면, 후자는 무시해야 한다." 라고 해석이 된다. 이 말은 암시적으로 Transfer-Encoding : chunked 와 Content-length 모두 사용하여 서버 설정상 요청을 처리 할 수 도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요청을 거절하는 서버는 거의 없다고 한다.

2. How to detect HTTP Request Smuggling

HTTP Request Smugging 공격을 테스트 할 때, 실습이 구현된 환경에서는 공격자가 요청을 보내고 피해자가 요청을 보내면 공격이 성공 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유명하고 트래픽이 높은 사이트를 대상으로 테스트를 한다면, 공격이 성공 했는지를 알기는 힘들 수도 있고 죄 없는 다른 사용자만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Back-end에서 연결시간을 초과시키는 일련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탐지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오탐이 거의 없고, 다른 유저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Front-end가 Content-length 헤더를 기준으로, Back-end는 Transfer-encoding 헤더를 기준으로 패킷을 분석한다고 가정하자. (CL.TE)

Front-end 에서는1\r\n z\r\n Q\r\n 에서 1\r\n z\r\n 만 body 데이터로 인식하고 Back-end로 넘긴다. Back-end 에서는 z\r\n 이후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받으려고 기다리다 타임아웃이 된다. 이로 인해 관찰 가능한 타임 딜레이가 발생하게 된다. (소오오름...)

만약 반대일 경우(TE.CL) Front-end에서 0\r\n \r\n x\r\n 에서
0\r\n 까지만 body 데이터로 인식하고, Back-end는 Content-length가 6만큼의 크기가 도착하지 않아 기다리다 타임아웃이 된다.

3. Confirm

위에서 설명한 것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에는 공격자가 악의적인 패킷을 포함시켜 공격을 해보겠다.

portswigger blog 를 통해 이 글을 적고 있는데, 이 분이 다음과 같은 말을 적었다.

If the first request causes an error the back-end server may decide to close the connection, discarding the poisoned buffer and breaking the attack. Try to avoid this by targeting an endpoint that is designed to accept a POST request, and preserving any expected GET/POST parameters.

Some sites have multiple distinct back-end systems, with the front-end looking at each request's method, URL, and headers to decide where to route it. If the victim request gets routed to a different back-end from the attack request, the attack will fail. As such, the 'attack' and 'victim' requests should initially be as similar as possible.

간단히 요약하면,

POST나 GET으로 요청을 보낼때 서버로 보내는 파라미터는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좋다. 몇몇 사이트는 여러개의 Back-end 서버를 가지고 있어서, Front-end는 각각의 요청 방법, 메소드, URL, 헤더를 보고 어디로 라우터 할지를 결정한다. 만약 피해자 요청이 공격 요청으로 부터 다른 Back-end로 라우트 된다면 실패 한 것이니 알고 있으면 된다.

 

만약, 피해자의 요청이 아래처럼 일 경우.

 

 

그리고 CL.TE 일 경우, 아래 처럼 공격자는 정상적인 파란색 패킷에 악의적인 빨간색 패킷을 붙여 요청을 보낸다.

 

공격이 성공하게 된다면, 피해자는 POST 방식으로 /search 로 요청을 보냈지만 GET /404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될 것이다. 

 

위 패킷에서 공격자가 주의해야 할 부분은 Content-length 값을 제대로 적어줘야 할 것이다. 만약 잘 못 적게 된다면, 공격자가 생각한 방법대로 공격이 수행될 수가 없을 수도 있다.

 

여기까지가 필자가 이해한 부분을 글로 작성한 것이다.

 

portswigger blog에서 원글은 이 이상으로 더 많은 정보가 있다. 여기 이후 부터는 이해를 아직 못했기 때문에 딱 여기까지만 적는다. 시간 되는대로 원글을 해석하면서 공부하고 이해가 된다면 추가적으로 글을 적을 것이다.

Reference

  1. https://portswigger.net/blog/http-desync-attacks-request-smuggling-reborn
  2. sungwanjo.tistory.com/entry/Chunked-Response란
  3. hahwul.com/2019/08/http-smuggling-attack-re-born.html
  4. https://portswigger.net/web-security/request-smuggling
  5. https://en.wikipedia.org/wiki/Chunked_transfer_encoding